커뮤니티전문가컬럼
평일 AM 9:00 ~ PM 6:00
재산상속, 증여세 합산기간 따져 미리 주면 ‘절세’ | 2015-12-21 |
---|---|
재력가 아버지를 둔 홍 원장. 사람은 자기 능력으로 살아야 한다는 신조 하에 지금껏 아버지 재산을 탐낸 적이 없다. 아버지 또한 미리 재산을 물려줄 생각이 없었는데, 어느 날 은행 PB로부터 지금 돌아가시면 홍 원장이 엄청난 상속세를 내야 한다는 말을 듣고 후회하고 계신다. 아버지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재산을 미리 증여하는 게 좋다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
10년 증여세 합산기간을 활용해 미리 증여
세전 소득금액이 1억 7,500만 원이라면 세후 소득금액은 1억 3천만 원 정도가 된다. 홍 원장에게는 초등학생 자녀가 두 명 있는데, 아직 자녀에게 재산을 증여한 적이 없다. 자녀에게 미리 재산을 증여하면 버릇이 없어지고, 부모의 재력에 기대는 마음이 생겨 자신의 능력을 키우려는 노력을 게을리할 수도 있다고 생각해서였다. 그래서 홍 원장 자신도 재력가인 아버지로부터 개원 당시 약간의 도움을 받은 것 말고는 아직 증여받은 것이 없다.
아버지의 재산은 약 50억 원. 이를 증여받았을 때 홍 원장이 내야 할 증여세는 무려 20억 원 정도에 달한다. 증여받는 재산의 40%에 가까운 금액을 세금으로 내야 한다. 게다가 물려받는 재산 대부분이 부동산이어서 부동산이 팔리지 않으면 달러 빚이라도 내 증여세를 내야 할 형편이다.
사정이 이쯤 되고 보니 아버지가 살짝 원망스럽기까지 하다. 허겁지겁 세무 전문가에게 자문하니 사전에 미리 증여했어야 증여세 폭탄을 맞지 않는다고 조언한다. 홍 원장은 자식들만큼은 증여세 걱정을 하지 않도록 일정한 규모로 증여를 해나가기로 했다.
홍 원장은 증여 규모가 증여공제의 범위를 넘었을 때 증여세를 내는 것까지 고려해 재산 배분 전략을 세웠다. 전문가들은 증여 한도에 맞춰 증여함으로써 증여세를 아예 내지 않는 것보다는 한도를 조금 넘겨 증여하고 이를 세무당국에 신고한 다음 초과분에 대한 증여세를 내 납세 근거를 남기는 게 더 확실한 방법이라고 추천하기도 한다.
증여세율은 증여공제 후 초과금액에 대해 적용되는데, 과세표준 1억 원까지는 10%, 1억 원 초과 5억 원 이하는 20%의 세율이 적용된다. 따라서 10%나 20%의 증여세 세율을 적용받는 범위 내에서 자신에게 맞는 규모를 선택해서 증여하면 된다. 자녀는 증여받은 종잣돈을 이용해 이자나 이익을 얻을 수 있는데, 이 수익은 자녀에게 귀속된다. 하지만 이 금액을 홍 원장이 직접 투자해 불린 다음 증여하거나 상속하면 관련 세금은 그만큼 늘어난다.
언젠가 물려 줘야 할 재산이라면 10년이라는 증여 기한과 공제규정을 적절하게 활용해 미리 넘겨 놓는 게 세금 면에서 크게 유리하다. 좀 더 멀리 내다보면 홍 원장은 아버지로부터 상당한 재산을 상속받게 된다. 상속재산이 합쳐지면 홍 원장의 재산은 갑자기 많이 늘어난다. 이런 상황을 생각할 때 홍 원장이 재산을 미리 분배해 두지 않는다면 훗날 홍 원장의 자녀들은 증여세나 상속세에 대해 매우 큰 부담을 안게 된다.
‘조세일보 기업지원센터’에서는 병·의원에 도움이 되는 상속증여 플랜에 대하여 전문가가 지원을 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임원퇴직금 중간정산, 가지급금, 명의신탁주식(차명주식), 특허(직무발명보상제도), 기업부설연구소, 법인 정관, 기업신용평가, 기업인증(벤처기업, ISO, 이노비즈 등), 개인사업자 법인전환, 상속, 증여, 기업가정신 등에 대한 법인 컨설팅도 진행하고 있다.
☞원문보기
백길현 세무사(스타리치 어드바이져 자문 세무사)
[약력] 現) 스타리치 어드바이져 자문 세무사 現) 세무법인 택스홈앤아웃 상무이사/세무사 경희대 경영대학원 의료경영학과 석사 저서 : 병의원 만점세무 |